티스토리 뷰
사상 최고치에 도달한 금값: 그 배경과 전망
2025년 2월 14일, 국제 금값이 온스당 2,844.56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금값은 지난 22년간 대체로 우상향 그래프를 보여주었으며, 작년에는 약 26%의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금값 상승은 글로벌 경제의 불안정성과 다양한 투자 방법의 변화에 기인하고 있습니다.
금값 상승의 원인
금값은 경제가 불안해질 때 오르는 경향이 있습니다. 주식과 같은 변동성이 큰 위험자산 대신 안전자산인 금을 선택하는 투자자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관세 전쟁’의 위기감이 고조되면서 금 수요가 증가했습니다.
2022년부터 세계 각국 중앙은행이 금을 사들이기 시작한 것도 금값 상승에 기여했습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으로 인해 지정학적 리스크가 커지면서 신흥국 중앙은행들이 금을 많이 사들였습니다. 세계금위원회(WGC)의 조사에 따르면, 68개국 중앙은행 중 10곳 중 3곳은 향후 1년간 금 보유를 늘릴 계획이라고 응답했습니다.
한국은행의 금 투자 전략
반면, 한국은행은 금 투자에 적극적이지 않습니다. 2013년 금 40톤을 사들인 것이 마지막이며, 한국은행은 "외환보유액은 그 가치가 안전하게 유지되고 상시 현금화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수익성보다는 안전성과 유동성을 우선시하는 입장입니다.
금 투자 방법의 다양화
금값 상승에 따라 소액으로 금에 투자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돌잔치에 1g짜리 미니 금반지와 금수저가 등장하는가 하면, 금을 0.01g 단위로 거래할 수 있는 e금 거래에도 투자자가 몰리고 있습니다. e금은 실물 금과 동일한 가치를 지닌 디지털 자산으로, 금값이 상승하면 e금 가격도 함께 오릅니다.
중국에서는 가상자산 거래가 불법이어서 금 수요가 더욱 큽니다. 지난해 중국의 경기가 둔화되면서 금 투자에 관심을 갖는 중국인이 급격히 늘었습니다. 특히, ‘금콩’(Gold beans)이라는 1g짜리 금 제품이 중국 Z세대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금콩은 가격대가 높지 않아 사회 초년생들에게 매력적인 선택이 되고 있습니다.
금값 상승세의 전망
미국 대형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3개월 전까지만 해도 올해 금값이 3천 달러를 돌파할 것이라 예상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올해 금값이 2,910달러에 그칠 것이라는 예측으로 수정했습니다. 금리 인하 속도가 둔화되면 달러 가치가 높아져 금 수요가 줄어들 것이라는 분석입니다.
금값이 떨어질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을 내놓은 기관도 있습니다. 바클레이스(Barclays)와 맥쿼리(Macquarie)는 금값이 올해 연말까지 약 4% 하락해 2,500달러까지 떨어질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이들은 올해도 달러 강세가 계속될 것이라며 금값 상승세가 이어지기 어렵다고 보고 있습니다.
은값의 상승
은 역시 금과 함께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며, 최근 은 채굴량이 줄어드는 반면 AI와 전기차 산업의 발전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이 결합하여 은값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결론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이유는 글로벌 경제의 불안정성과 중앙은행의 금 매입 증가, 그리고 다양한 투자 방법의 변화에 기인합니다. 그러나 금값 상승세가 지속될지에 대한 전망은 엇갈리고 있으며, 투자자들은 이러한 변화를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할 것입니다. 금과 은의 시장 동향은 앞으로도 많은 이들의 관심을 끌 것으로 보입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왜 대한민국 국적을 가질 수 없나요? (0) | 2025.02.23 |
---|---|
2025년 전기차 보조금 개편의 주요 변화 (0) | 2025.02.20 |
미국 백인도 계급이 있다? 최상류층 WASP부터 하층 백인까지! (0) | 2025.02.16 |
"30년 동안 홀로 전쟁을 계속한 남자의 마지막 선택" (0) | 2025.02.15 |
150년 동안 세계를 사로잡은 맥주의 비밀!하이네켄의 놀라운 성공 이야기 (0) | 2025.02.02 |